[071]정신과에서 대마초 처방할 날이 올까?
최근까지도 마약으로만 여겨져왔던, 대마초의 의학적 사용에 관한 관심이 최근 매우 높아졌습니다. 정신과의 영역에선 어떻게 쓰일 수 있을까요? 어떤 우려가 있을까요? 최근 유행하는 CBD와 THC는 어떻게 다른 것일까요? 처방될 수 있는 대마초 약제의 종류는 무엇이고 합법인 지역은 어디일까요? 그리고, 대마초의 역사는 언제 부터일까요? 대마초와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들을 해보았습니다.
우선 대마초 관련 정보를 찾아 오신 분들이라면, 아래 링크 먼저 참고 하세요.
G-health 공공보건포털
공공보건포털 G-health입니다.
www.g-health.kr
*BGM Opening 'Dreaming rain - 김현정', Ending 'Jazz Club - 김재성'
- 대마초란 무엇인가?
- 대마초의 역사
- 대마초의 이름들 : 마리화나, 칸나비스, 해시시
- 대마초의 효능?
- 대마초 의학적 사용?
- 대마초 합법화 주장의 이유들?
*네이버 오디오클립
https://audioclip.naver.com/channels/6120
[마인드넛]정신과의사의 마음탐험 (by 마인드넛)
지금까지 이런 정신의학 팟캐는 없었다!정신의학 공부인가 사투리 공부인가?! 정신과의사의 마음탐험 정신세계 지식탐구
audioclip.naver.com
*팟빵
[마인드넛]정신과 전문의 힐링방송
듣기만해도 건강해지는 "정신과 전문의" 직접 진행하는 진짜 정신과 이야기. 정신의학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세상의 비밀을 밝혀봅시다.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, 편견을 넘어, 사람들과 소통 합
www.podbbang.com
*팟티
마인드넛 마음탐험대 Mindnauts
Mind + - nauts 마음 + 여행자젊은 정신과 의사의 진솔한 정신과 이야기.진료실에서는 시간이 부족해서 설명할 수 없었던정신건강의학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, 편견을 넘어, 사람들과 소
www.podty.me
*아이튠즈
참고 자료
https://scienceon.kisti.re.kr/srch/selectPORSrchArticle.do?cn=NPAP12914527&dbt=NPAP
대마의 이용실태와 자원식물로서의 활용가치
대마는 인류가 이용해 온 가장 오래된 약제 중 하나로 그 원산지는 중앙아시아와 남아시아이다. 식물분류학적으로 대마속 일년생 식물로서 Cannabis sativa, Cannabis indica, Cannabis ruderalis 3종이 있으며
scienceon.kisti.re.kr
https://coupa.ng/b7CzGe"이포스팅은쿠팡파트너스활동의일환으로, 이에따른일정액의수수료를제공받습니다."
우리는 마약을 모른다:교양으로 읽는 마약 세계사
COUPANG
www.coupang.com
https://coupa.ng/b7Cz73"이포스팅은쿠팡파트너스활동의일환으로,이에따른일정액의수수료를제공받습니다."
[현실문화]마약의 사회사 : 가정상비약에서 사회악까지 마약으로 본 한국 근현대사
COUPANG
www.coupang.com
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1640712#home
대마초 흡연은 언제부터, 왜 범죄가 되었나
"대마초 흡연 욕구는 기호품에 관한 개인적 욕구에 불과할 뿐 불가결의 권리는 아니다"며 "70년대 중반 이용이 확산했을 뿐, 대마 규제가 법 감정과 시대 상황에 맞지 않을 만큼 비합리적이라 볼
www.joongang.co.kr
https://www.ncbi.nlm.nih.gov/pmc/articles/PMC6966847/
http://www.yes24.com/Product/Goods/6774937
마약의 역사 - YES24
원시 시대부터 21세기까지, 마약의 역사에 대해 살펴본다. 서론에서는 `인류의 역사와 마약의 역사`, `마약식물 및 마약의 종류`를 다룬다. 국내에서 마약학 분야는 매우 미진하다. 마약학에서 가
www.yes24.com
'Mindnauts Podcas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073/책]이제 독성관계는 정리합니다 (0) | 2021.10.12 |
---|---|
[072/TMS]정신과의사가 본 D.P. 심리분석 (0) | 2021.10.05 |
[070]이번 추석엔 이런말 하지마세요 (0) | 2021.09.17 |
[069]찬드라쿠마리구릉 사건,정신병원 강제입원 6년4개월 (0) | 2021.09.14 |
[068]나쁜 소식 전하기, 권순욱 감독의 유산 (0) | 2021.09.09 |